-
목차
부가세는 신고할 때마다 헷갈리고 어려우시죠?
특히 처음 할 때는 더 그렇습니다.
이 글에서 부가세 계산기를 쉽게 쓰는 법과 절세 팁을 아주 쉽게 알려드릴테니 꼼꼼하게 확인해 보세요.2025년 기준 부가세 신고 기간은?
부가세는 과세 유형에 따라 신고하는 횟수와 시기가 달라집니다.
일반과세자는 1년에 2번 신고합니다.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서 아래 기간에 맞춰서 신고하시면 됩니다.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 일정 신고 구분 매출 기간 신고 기간 1기 확정 1월 ~ 6월 7월 1일 ~ 7월 25일 2기 확정 7월 ~ 12월 다음 해 1월 1일 ~ 1월 25일 간이과세자는 1년에 1번, 매년 1월 1일 ~ 1월 25일까지 전년도 전체 매출을 신고하시면 됩니다.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차이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비교 항목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매출 기준 8,000만 원 미만 8,000만 원 이상 부가세율 업종별 1~5% 10% 고정 세금계산서 일반 불가 발행 필수 매입세액 공제 불가 가능 환급 불가 가능 신고 주기 연 1회 연 2회 전자세금계산서 일정 매출 이상 시 의무 간이과세 불가 업종 병원, 약국, 세무사, 변호사, 유흥업소, 부동산 중개 등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
개인의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부가세 계산기를 아래 두 가지로 정리했습니다.
간단한 계산부터 실제 세무 수준의 상세 계산까지 모두 확인해보세요.- 간편용 : 공급가액 또는 합계금액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상세용 : 매입·매출 세금계산서, 카드지출, 공제 항목까지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납부세액을 세밀하게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 (간편용)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 (상세/공제 포함)
일반과세자 부가세 계산하는 쉬운 방법
일반과세자는 부가세를 "매출세액 - 매입세액"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즉, 고객에게 받은 부가세에서 내가 다른 곳에 지불한 부가세를 빼고 남은 금액을 납부하는 방식입니다.[예시]
● 고객에게 물건을 팔고 1,100만 원을 받았으면, 이 중 10%인 100만 원이 매출 부가세입니다.
● 사업용 재료나 물건을 사면서 40만 원을 낼 경우, 매입 부가세입니다.
● 납부할 부가세는 100만 원 - 40만 원 = 60만 원입니다.[주의]
매입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반드시 '세금계산서'나 일정한 조건을 갖춘 '계산서나 영수증'이 필요합니다.▶ 사업과 관련된 모든 지출은 전자세금계산서 수령이 원칙이지만, 카드영수증이나 현금영수증도 조건이 맞으면 공제가 가능합니다. 국세청 홈택스에 등록된 지출증빙용 자료가 맞는지 꼭 확인하세요.
간이과세자 부가세 계산 방법
간이과세자는 계산이 조금 다릅니다.
업종별로 정해진 부가율(%)을 매출에 곱해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일정 금액은 자동으로 감면되기도 합니다.[계산 공식] 연간 매출액 × 업종별 부가율 = 납부할 부가세 (감면 전 금액)
[예시]
● 음식점 부가율은 4%
● 연매출 5,000만 원 × 4% = 200만 원[주의]
간이과세자는 매입세액에 대한 공제가 안 되기 때문에 세금계산서를 받아도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없습니다.
단, 연 매출이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부가세가 전액 면제됩니다.부가세 절세 꿀팁 7가지 (실전 적용 예시)
1. 사업과 관련된 경비 지출은 세금계산서를 받으세요.
세금계산서를 받아야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서 계산서 발행 확인하기2. 업무용 차량은 따로 관리하세요.
개인 명의 차량은 공제받기가 어렵습니다.
법인 명의 차량일수록 부가세 절세에 유리하니, 구분해서 관리하는 것이 절세에 유리합니다.3. 임대료도 세금계산서 필요합니다.
가게나 사무실 월세도 공제받으려면 임대인에게 세금계산서를 요청하셔야 합니다.4. 매출·매입 내역은 미리 정리해 두세요.
신고일 직전에 정리하면 실수가 많아집니다. 3개월 단위로 정리해 두세요.
홈택스 매입/매출 내역 미리보기5. 초기 지출 크면 환급 가능
사업 초기에 인테리어 비용, 장비 마련을 위한 지출이 많다면 부가세 환급 신청을 꼭 하세요.6. 감면 혜택 대상 확인
청년·소상공인은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일 수 있어요.
국세청 공지사항 참고하셔서 놓치는 부분이 없도록 하세요.7. 신고는 홈택스에서 온라인으로
홈택스 회원가입은 미리 해두면 편리합니다.2025년 부가세 신고 달라진 점
2025년부터 부가세 신고 제도가 일부 변경되었습니다.
특히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범위 확대와 간이과세자 관련 요건 강화는 많은 사업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2025년 부가세 제도 변경 요약 항목 변경 전 2025년부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 확대 일부 일반과세자만 모든 일반과세자 발행 의무 간이과세자 전자발행 선택 (매출 8천만 원 미만) 매출 8천만 원 이상은 의무 홈택스 신고서식 개편 간단 항목 중심 세부 항목 추가 (카드·계산서 분리) 청년, 창업자 납부 유예 확대 1년 유예 최대 2년까지 연장 가능 AI 세무 도우미 미제공 시범 운영 시작 (간이과세자 대상) 특히 간이과세자는 연 매출이 증가하면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자로 전환될 수 있으니,
최신 정보를 꼭 확인해 보세요.마지막으로 꼭 기억하세요.
신고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기 때문에
신고할 대상과 해당 일정을 미리 확인해 두시면 좋습니다.부가세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온라인으로 쉽게 하실 수 있어요.
신고 전에, 매출자료와 매입 자료를 미리 정리해 두시면 훨씬 수월하게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부가세 계산기는 매출과 지출을 관리하고 절세 전략까지 세울 수 있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계산기를 활용해서 직접 확인해 보시고,
내게 맞는 신고 방식과 공제 혜택까지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이미지 펼치기 / 접기
'재테크, 세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버린 AI 인공지능 관련주, 왜 지금 주목받을까? (0) 2025.07.10 금테크 방법 완벽 정리 – 금통장, 어플 추천, 골드바 구매까지 – 제대로 알고 시작하세요. (0) 2025.07.04 원화 스테이블코인, 카카오 클립 지갑으로 쉽고 안전하게 시작하기 (0) 2025.07.02 원화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정리|2025년 주목할 흐름과 관심 종목 안내 (0) 2025.06.26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입문 가이드|스테이블코인으로 금융 경험 바꾸기 (0) 2025.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