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2

이 블로그는 금융/정책 정보를 제공합니다

  • 2025. 6. 24.

    by. 머니머니로그2

    목차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입문 가이드|스테이블코인으로 금융 경험 바꾸기

       

      1. 원화 스테이블코인이란 무엇일까요?

      ‘원화 스테이블코인’대한민국 원화 가치에 연동되어 만들어진 디지털 자산입니다.

      대부분의 스테이블 코인이 달러 가치에 연동되어 있다는 점과 다른 부분입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1코인 = 1,000원처럼 가격이 고정된 디지털 자산으로, 변동성은 크지 않으면서 쉽고 안전하게 송금·결제·자산 운용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간단한 이용 방법, 그리고 디지털 자산 시장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세요.

       

       

       

       

      2.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주목받는 이유

      • 카카오페이가 원화 스테이블코인(KSD)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카카오톡 기반의 Klip 지갑과 같은 서비스와 연계되면 디지털 자산이 실생활 결제에 광범위하게 쓰일 가능성이 커집니다.
      • 정부는 ‘디지털자산기본법’을 통해 민간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법안을 준비 중입니다.
        이는 정책 방향이 관리 중심에서 벗어나 육성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는 뜻입니다.
      • 금융기관들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진투자증권은 카카오페이가 이 시장에서 주요 수혜자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한국은행은 조심스러운 입장이지만,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시장은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 이처럼 정부, 기업, 금융기관이 함께 움직이기 시작한 지금,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더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3. 원화 스테이블코인 투자를 하면 어떤 점이 유리할까요?

      • 가격 안정성 :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1KSD ≒ 1,000원처럼 실제 원화에 연동되어 있어, 비트코인 같은  변동성이 큰 자산보다 안정적입니다.  초보자도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 예금과는 다른 방식의 자산 운용 경험이 가능한 구조  : 디파이(DeFi) 서비스에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맡기면 플랫폼에 따라 일정 보상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단, 보상률은 변동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디파이 (DeFi) 란? 은행이나 회사를 거치지 않고, 스마트폰만 있으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이자 받기, 돈 빌리기 같은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블록체인이란? 데이터를 여러 대의 컴퓨터에 동시에 기록하여 정보 위조나 해킹이 어렵게 만든 시스템이에요. 쉽게 말해 '모두가 함께 기록하는 공공장부'입니다.

      • 간편한 송금/결제 : 카카오 Klip 지갑을 쓰면 언제든지 친구에게 간편하게 송금할 수 있습니다.
        수수료도 거의 없고, 은행 영업시간과도 상관없어요.

      • 입문자에게 적합 : 변동성이 적기 때문에  접근하기 쉬운 디지털 자산 환경입니다.

      • 정부 정책 변화로 더 큰 시장이 열릴 수 있어 : 앞으로는 카카오, 네이버, 토스 같은 서비스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쓸 수 있게 될 수도 있습니다. 결제, 자산운용, 송금 등 일상 속 모든 금융이 디지털로 바뀌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4.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이용한 자산 활용 방

      ① 디지털 지갑 만들기

      Klip 지갑은 카카오톡 기반으로 간편하게 개설할 수 있는 디지털 지갑입니다.
      사용자는 몇 단계만 거치면 시작할 수 있습니다. 

      1. 스마트폰에서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앱을 열고 ‘클립(Klip)’이라고 검색해 주세요.
      2. 앱을 설치한 다음 실행하면, 화면에 ‘카카오로 시작하기’라는 버튼이 보여요.
      3. 그 버튼을 눌러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만 하면, 따로 입력할 것도 없이 지갑이 만들어집니다.


      지갑이 만들어지면, 여기에서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보내고, 콘텐츠를 결제하는 일까지 전부 할 수 있습니다.

       

       

       

      ② 디지털 자산 플랫폼 이용

      원화 스테이블코인(KSD 등)을 경험하려면, 국내 디지털 자산 플랫폼(거래소 등)에 회원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회원 가입 후 실명 인증 및 원화 입금을 통해 관련 자산을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플랫폼:

      • 고팍스 (GOPAX): 원화 기반 자산 관련 기능을 준비 중인 국내 플랫폼
      • 업비트, 빗썸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다루는 국내 대표 서비스

      ※ 각 플랫폼마다 절차와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용 전 공식 안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지 출처: 클립(Klip) 공식 홈페이지 (https://klipwallet.com) 캡처 / 이미지 출처: 고팍스(GOPAX) 공식 홈페이지 (https://www.gopax.co.kr) 캡처

      ③ 일상에서의 활용 사례

      1. 디지털 자산 활용형 보관

      • 일부 서비스에서는 자산을 보관하거나 예치하면 보상을 제공하는 구조를 운영합니다.
      • 조건과 수익률은 플랫폼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용 전 충분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간편 송금

      • Klip 지갑을 사용하면 카카오톡 친구에게 몇 초 만에 디지털 자산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 별도의 은행 계좌 없이도 간편하게 자산 이동이 가능하며, 수수료도 낮은 편입니다.

      3. 디지털 콘텐츠 결제

      • NFT, 음악, 게임 아이템, 디지털 콘텐츠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카드 없이 지갑에서 직접 결제가 가능하며, 빠르고 간편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5. 일반 스테이블코인과의 차이점

      스테이블코인 비교 표
      항목 일반 스테이블코인 원화 스테이블코인
      기준 통화 미국 달러 (USD) 대한민국 원화 (KRW)
      사용처 해외 거래소, 글로벌 앱 국내 앱, 결제 서비스
      예시 USDT, USDC KSD(예정), eKRW 등
      발행 주체 테더, 서클 등 외국 기업 카카오페이, 고팍스 등 국내 기업
      정책 규제 미국 SEC, 국제 규제 한국 금융위, 한국은행 관련 법안 논의 중

       

       

       

       

      6. 활용할 때 주의할 점

      • 보안 설정 중요 : 디지털 지갑은 개인 정보와 자산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2단계 인증 및 백업 설정을 권장합니다.
      • 서비스별 조건 차이 : 일부 플랫폼은 보상률이 시기와 운영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세부 이용 조건을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정책 변화 주시 필요 : 디지털 자산 환경은 법적, 제도적으로 변화 중에 있으므로 공식 발표나 뉴스 등을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지금은 시작 단계지만, 정부 정책과 대기업의 참여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초기 단계지만, 제도의 변화와 기술 발전이 거듭하면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은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정보 탐색부터 시작해 보시면 미래 디지털 환경에서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원화스테이블 관련주에 대한 정보글입니다. 2025년 주목할 흐름까지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 글을 참조하세요.

       

       

       



       

       

      이미지 펼치기 / 접기